티스토리 뷰
이번시간에는 yum 을 이용한 apm 설치하는 방법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.
제가 사용하는 리눅스는 CentOS release 5.3 final 입니다.
yum은 위키백과 에서는 Yellow dog Updater, Modified 의 약자라고 해서 자동으로 업데이트겸 설치/제거를 할수 있는 도구입니다. 최근에는 대부분 yum 을 이용해서 패키지를 설치합니다.
우선 yum 으로 업데이트를 하기전에 미러링 사이트 확보를 위해서 플러그인을 설치합니다.
반드시 설치해줄 필요는 없지만 더 많은 , 그리고 최신의 플러그인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.
공식적으로는 최신버젼보다 아래를 지원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 이럴때는 테스팅 저장소를 이용하여 더 최신버젼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. 아래....
제가 사용하는 리눅스는 CentOS release 5.3 final 입니다.
yum은 위키백과 에서는 Yellow dog Updater, Modified 의 약자라고 해서 자동으로 업데이트겸 설치/제거를 할수 있는 도구입니다. 최근에는 대부분 yum 을 이용해서 패키지를 설치합니다.
우선 yum 으로 업데이트를 하기전에 미러링 사이트 확보를 위해서 플러그인을 설치합니다.
# yum install yum-fastestmirror -y
반드시 설치해줄 필요는 없지만 더 많은 , 그리고 최신의 플러그인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.
공식적으로는 최신버젼보다 아래를 지원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 이럴때는 테스팅 저장소를 이용하여 더 최신버젼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. 아래....
wget http://dev.centos.org/centos/5/CentOS-Testing.repo
mv CentOS-Testing.repo /etc/yum.repos.d/
yum --enablerepo=c5-testing update php
mv CentOS-Testing.repo /etc/yum.repos.d/
yum --enablerepo=c5-testing update php
운영에 있어서 필요한 라이브러리등을 설치합니다. 대부분 사용하는 gd, gcc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.
많으면 좋지만 최소한의것만 설치하여도 무방합니다.
yum -y install freetype gcc gd g++ libpng zlib
등만 설치하여도 됩니다.
자 인제 시작.
설치순서는 mysql -> apache -> php 순으로 해주시는게 좋습니다. 예전에 rpm 으로 설치시에는 다른식으로 하면 연동이 제대로 안됬었는데 yum 에서는 어떻게 되는지 잘 모르겠네요 ^^;;
일단 시작합니다.ㅋㅋ
첫번쨰로 mysql5를 설치합니다.
yum -y install mysql mysql-server
두번째로 아파치를 설치합니다.
yum -y install httpd
세번째로 php를 설치합니다.
yum -y install php
네번째로 php와 mysql 을 연결시켜줍니다.
yum -y install php-mysql
다섯번째로 아래 명령어를 통해 전체적인 리스트를 살펴봅니다. 그리고 필요한 업데이트나 라이브러리는 설치해주시기 바랍니다.
yum list httpd*
yum list mysql*
yum list php*
yum list mysql*
yum list php*
설치가 끝났으므로 데몬을 실행시킵니다.
실행시키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. 서비스로 올리거나 해당 데몬을 직접 업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.
아래 문구중 하나만 실행시키시면 됩니다. 저는 대체적으로 서비스를 애용합니다.
데몬에서의 실행
/etc/init.d/httpd start
/etc/init.d/mysqld start
/etc/init.d/mysqld start
서비스로 실행
# service httpd start
# service mysqld start
# service mysqld start
그외에 방법으로는 예전부터 사용되는 mysqld_safe & 나 apachectl start 등이 있습니다. 자세한 방법은 생략합니다.
이제 apm 이 실행되었습니다.
아래는 각 디렉토리 정보입니다.
아파치
conf : /etc/httpd/conf
홈디렉토리 : /var/www/html
홈디렉토리 : /var/www/html
mysql
실행파일 : /usr/bin
DB파일 : /var/lib/mysql
DB파일 : /var/lib/mysql
php
ini 파일 : /etc/php.ini
기타 파일이나 디렉토리는 아래 명령을 참조바랍니다.
whereis 찾을파일명
이제 설치가 끝났습니다. 기본적으로 동작은 하지만 추가적으로 세부적인 보안사항들은 각 conf 파일들을 수정하셔야 합니다. 추가적으로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.
이제 /var/www/html 디렉토리 아래에 php 나 html 파일을 넣고 동작시켜보시기 바랍니다.
즐거운 APM 생활 되세요 :)
'#보안개발 친구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에서 OS버전 확인하기. (0) | 2011.12.22 |
---|---|
SQL 별 갯수제한 (limit, top, rownum ) 사용하기 (0) | 2010.12.13 |
MySQL 쿼리 결과값 빨리 알아보기 (0) | 2010.12.08 |
중국 DDOS 공격은 슈퍼주니어 때문? (0) | 2010.07.06 |
SIP register flow / SIP 인증절차 (0) | 2010.06.28 |
아파치 환경에서 cgi 지원 / 테크노트 취약점 실행하기 (0) | 2010.06.16 |
네이트온 해킹 유형과 대응법. (11) | 2010.06.07 |
개발자가 알아야 할 10가지 CSS 팁 (0) | 2010.06.01 |
공유하기 링크
- TAG
- APM 설치, apm설치, centos apm 설치, yum apm 설치, 리눅스 apm 설치
댓글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851,876
- Today
- 409
- Yesterday
- 468